위메프 티몬 피해판매자 지원 신청하기

2024년 08월 08일 by 일파오

최근 위메프와 티몬의 정산 지연 문제로 많은 판매자분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요, 피해를 입은 판매자분들을 위한 정부의 지원 방안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위메프와 티몬의 정산 지연 문제

먼저, 위메프와 티몬에서 정산이 지연되면서 매출금을 제때 받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판매자들이 많습니다. 특히, 5월 이후 정산 지연 문제가 발생하면서 판매자들의 경영에 큰 타격이 있었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금융위원회와 관련 기관들이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했다고 합니다.

 

 

정산 지연 피해 판매자 지원 방안

1. 기존 융자 및 보증에 대한 만기 연장 및 상환 유예

먼저, 기존에 받은 자금 및 보증에 대한 지원이 있습니다. 8월 7일부터 적용되는 이 지원 방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 대상 기업: 위메프와 티몬에서 5월 이후 정산 지연으로 매출이 있는 기업.
  • 대상: 8월 7일 이전에 받은 모든 금융권 및 정책 금융기관 자금입니다.
  • 지원 내용: 최대 1년까지 만기 연장 지원이 가능하며, 상환 유예를 통해 연체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 거래 중인 금융회사의 영업점을 방문해 신청하면 됩니다. 매출 사실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제출해야 하며, 이를 통해 지원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2. 선정산 자금 기한 연장 및 상환 유예

 

선정산을 이용 중인 기업도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신한은행, 국민은행, SC제일은행에서 제공하는 지원입니다.

 

이번 만기 연장 및 상환 유예는 7월 10일부터 8월 7일 사이에 발생한 연체에 대해서도 지원이 가능하니, 놓치지 말고 신청하셔야 합니다!

 

 

  • 대상 기업: 티몬과 위메프 매출을 근거로 선정산을 받은 기업.
  • 지원 내용: 연체가 발생하지 않도록 만기 연장 및 상환 유예가 지원됩니다.
  • 신청 방법: 해당 은행의 창구를 통해 신청하시면 됩니다.

 

신청하기 (중기 정책자금 홈페이지)

 

신청하기 (소상공 정책자금 홈페이지)

 

 

 

3. 정책금융기관의 유동성 지원 프로그램

정책금융기관에서도 유동성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 3,000억 원+@의 협약 프로그램: 기업은행과 신용보증기금이 8월 9일부터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 2,000억 원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8월 9일부터 제공하는 자금입니다.

이 자금들은 사업 운영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에 대해서는 관련 기관에 문의하시면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금융위원회, 중소벤처기업부, 금융감독원, 정책금융기관 및 업권별 협회는 긴급 대응반을 운영하여 피해 기업들의 자금 집행 과정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수시로 협의하며 피해 기업의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상담센터

자금 지원 및 애로 사항에 대한 종합적인 컨설팅을 제공하는 상담센터도 운영되고 있습니다.

  • 금융감독원 종합상담센터: 1332 (내선 6번)
  • 강릉: 033-642-1904
  • 부산·울산: 051-606-1700, 1701
  • 경남: 055-716-2330
  • 대구·경북: 053-760-4000
  • 제주: 064-746-4200
  • 광주·전남: 062-606-1600
  • 전북: 063-250-5000
  • 대전·세종·충남: 042-479-5151, 5154
  • 강원: 033-250-2800
  • 인천: 032-715-4890
  • 충북: 043-857-9104

 

이 외에도 다양한 기관이 상담과 지원을 준비하고 있으니, 필요하신 경우 언제든지 연락하셔서 도움을 받으세요.

 

위메프와 티몬의 정산 지연으로 인해 많은 판매자분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와 관련 기관들이 마련한 다양한 지원 방안을 활용하셔서 조금이나마 경영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지원을 받기 위한 절차는 복잡할 수 있지만, 최대한 빠르고 원활하게 도움을 받으실 수 있도록 준비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로 궁금한 점이나 어려운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상담센터나 관련 기관에 문의해 보세요.